제8회 세자르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수상 및 후보
- 2.1. 작품상
- 2.2.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 2.3. 최우수 데뷔 작품상
- 2.4. 최우수 남자 배우상
- 2.5. 최우수 여자 배우상
- 2.6. 최우수 남우조연상
- 2.7. 최우수 여우조연상
- 2.8. 최우수 신인 남자 배우상
- 2.9. 최우수 신인 여자 배우상
- 2.10. 최우수 감독상
- 2.11. 최우수 각본상
- 2.12. 최우수 각색상
- 2.13. 최우수 촬영상
- 2.14. 최우수 음향상
- 2.15. 최우수 편집상
- 2.16. 최우수 영화 음악상
- 2.17. 최우수 프로덕션 디자인상
- 2.18. 최우수 애니메이션 단편
- 2.19. 최우수 극영화 단편상
- 2.20. 최우수 다큐멘터리 단편상
- 참조
1. 개요
제8회 세자르상은 1983년에 열린 시상식으로, 1982년 프랑스 영화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주요 수상작으로는 작품상 《라 발란스》, 외국어 영화상 《빅토르/빅토리아》, 감독상 《당통》의 안제이 바이다, 남우주연상 《라 발란스》의 필리프 레오타르, 여우주연상 《라 발란스》의 나탈리 베이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3년 영화상 - 제56회 아카데미상
1983년 영화계 업적을 기리기 위해 1984년 4월 9일 도로시 챈들러 파빌리온에서 조니 카슨 사회로 열린 제56회 아카데미상에서는 영화 《애정의 조건》이 작품상, 감독상, 각색상을 포함하여 5개 부문을 수상하며 최다 수상의 영예를 안았고, 제임스 L. 브룩스는 작품상, 감독상, 각색상을 동시에 수상하는 기록을 세웠다. - 1983년 영화상 - 제37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1984년에 열린 제37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에서는 《리타 길들이기》가 작품상을 수상하고 3개 부문에서 최다 수상을, 《투씨》는 9개 부문에서 최다 후보 지명을 받았으며, 마이클 케인과 더스틴 호프만이 남우주연상을 공동 수상했다. - 세자르상 - 제19회 세자르상
제19회 세자르상은 1994년에 개최되었으며, 알랭 레네 감독의 《흡연/금연》이 최우수 작품상을, 피아노가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을, 푸른 파파야 향기가 최우수 데뷔상을 수상했다. - 세자르상 - 제31회 세자르상
제31회 세자르상은 2006년에 개최되었으며, 영화 《내 심장이 건너뛴 박동》이 최우수 작품상을, 자크 오디아르가 감독상을, 미셸 부케와 나탈리 베이가 각각 남우주연상과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제8회 세자르상 - [상(Prize)]에 관한 문서 | |
---|---|
제8회 세자르상 | |
![]() | |
날짜 | 1983년 2월 26일 |
장소 | 르 그랑 렉스, 파리, 프랑스 |
사회자 | 장클로드 브리알리 |
최우수 작품상 | 라 발랑스 |
최우수 남우주연상 | 필리프 레오타르 |
최우수 여우주연상 | 나탈리 베이 |
방송사 | 안테네 2 |
이전 시상식 | 7회 |
다음 시상식 | 9회 |
2. 수상 및 후보
제8회 세자르상 시상식에서는 다양한 부문에 걸쳐 수상자와 후보가 선정되었다. 주요 부문별 수상자 및 후보는 다음과 같다.
부문 | 수상자 | 후보 |
---|---|---|
최우수 작품상 | 라 발란스 (밥 스와임 감독) | 당통 (안제이 바이다 감독) 정열 (장뤼크 고다르 감독) 어느 도시의 방 (자크 드미 감독) |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 빅토르/빅토리아 (블레이크 에드워즈 감독) | E.T.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 프랑스 중위의 여자 (카렐 라이스 감독) 욜 (셰리프 괴렌, 일마즈 귀네이 감독) |
최우수 데뷔 작품상 | 30살에 죽다 (로맹 구필 감독) | 조세파 (크리스토퍼 프랑크 감독) 소말리아의 연애 편지 (프레데리크 미테랑 감독) 일제 사격 (장클로드 미세안 감독) |
최우수 남자 배우상 | 필리프 레오타르 (라 발란스) | 제라르 드파르디외 (당통) 리노 반투라 (레 미제라블) 제라르 랑뱅 (일제 사격) |
최우수 여자 배우상 | 나탈리 베이 (라 발란스) | 미유미유 (조세파) 로미 슈나이더 (무심의 방랑자) 시몬 시뇨레 (북극성) |
최우수 남우조연상 | 장 카르메 (레 미제라블) | 제라르 클레인 (무심의 방랑자) 미셸 조나 (데이비드를 뛰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장프랑수아 스테브냉 (어느 도시의 방) |
최우수 여우조연상 | 파니 코텐송 (북극성) | 데니스 그레이 (라붐 2) 스테판 오드랑 (모두를 위한 낙원) 다니엘 다리외 (어느 도시의 방) |
최우수 신인 남자 배우상 | 크리스토프 말보이 (패밀리 록) | 장폴 코마르 (라 발란스) 체키 카료 (라 발란스) 도미니크 피뇽 (마르탱 게르의 귀향) |
최우수 신인 여자 배우상 | 소피 마르소 (라붐 2) | 수아드 아미두 (큰 형) 파비엔 기옹 (어느 도시의 방) 줄리 제즈켈 (북극성) |
최우수 감독상 | 안제이 바이다 (당통) | 밥 스와임 (라 발란스) 장뤼크 고다르 (정열) 자크 드미 (어느 도시의 방) |
최우수 각본상 | 장클로드 카리에르, 다니엘 비뉴 (마르탱 게르의 귀향) | 마티외 파비아니, 밥 스와임 (라 발란스) 에릭 로메르 (아름다운 결혼) 엘리 슈라키 (데이비드를 뛰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
최우수 각색상 | 장 오렌슈, 미셸 그리솔리아, 피에르 그라니에-데페르 (북극성) | 장클로드 카리에르 (당통) 다니엘 슈미트, 파스칼 자르댕 (에카트) 로베르 오세인, 알랭 데코 (레 미제라블) |
최우수 촬영상 | 앙리 알레칸 (송어) | 에드몽 리샤르 (레 미제라블) 라울 쿠타르 (정열) 장 팡저 (어느 도시의 방) |
최우수 음향상 | 윌리엄 로버트 시벨, 클로드 빌랑 (무심의 방랑자) | 피오트르 자바츠키, 도미니크 헨네캥, 장피에르 뤼 (당통) 피에르 가메, 자크 모몽 (포르티엠 루지상) 제라르 람, 앙드레 에르베 (어느 도시의 방) |
최우수 편집상 | 노엘 부아송 (데이비드를 뛰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 프랑수아즈 자베 (라 발란스) 앙리 라노에 (포르티엠 루지상) 아르망 프세니 (일제 사격) 장 라벨 (북극성) |
최우수 영화 음악상 | 미셸 포르탈 (마르탱 게르의 귀향) | 블라디미르 코스마 (라붐 2) 조르주 들르뤼 (무심의 방랑자) 미셸 콜롬비에 (어느 도시의 방) |
최우수 프로덕션 디자인상 | 알랭 네그르 (마르탱 게르의 귀향) | 프랑수아 드 라모트 (레 미제라블) 알렉상드르 트로네 (송어) 베르나르 에뱅 (어느 도시의 방) |
최우수 애니메이션 단편 | 가난한 곱추의 전설 (미셸 오슬로 감독) | 1909년 연대기 (폴 브리치, 가에탕 브리치 감독) 사전 통보 없이 (미셸 고티에 감독) |
최우수 극영화 단편상 | 블러프 (필리프 벤수산 감독) | 코레, 히타노 (토니 가트리프 감독) 멀린 혹은 황금 수업 (아르튀르 조페 감독) 압수 (이브-노엘 프랑수아 감독) |
최우수 다큐멘터리 단편상 | 정크피아 (크리스 마르케 감독) | 지옥의 천사 (애니 트레스고 감독) 로스 몬테스 (호세 마르틴 사르미엔토 감독) 사운드 조각 (자크 바르삭 감독) |
2. 1. 작품상
'''라 발란스''' (밥 스와임 감독)2. 2.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빅토르/빅토리아''', 블레이크 에드워즈 감독E.T. ,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
프랑스 중위의 여자, 카렐 라이스 감독
욜, 셰리프 괴렌, 일마즈 귀네이 감독
2. 3. 최우수 데뷔 작품상
'''30살에 죽다''', 로맹 구필 감독조세파, 크리스토퍼 프랑크 감독
소말리아의 연애 편지, 프레데리크 미테랑 감독
일제 사격, 장클로드 미세안 감독
2. 4. 최우수 남자 배우상
'''필리프 레오타르''' - 라 발란스2. 5. 최우수 여자 배우상
미유미유 - ''조세파''
로미 슈나이더 - ''무심의 방랑자''
시몬 시뇨레 - ''북극성''
2. 6. 최우수 남우조연상
'''장 카르메''' - ''레 미제라블''2. 7. 최우수 여우조연상
'''파니 코텐송''' - 북극성2. 8. 최우수 신인 남자 배우상
'''크리스토프 말보이''' (패밀리 록)- 장폴 코마르 (라 발란스)
- 체키 카료 (라 발란스)
- 도미니크 피뇽 (마르탱 게르의 귀향)
2. 9. 최우수 신인 여자 배우상
'''소피 마르소''' (라붐 2)수아드 아미두 (큰 형)
파비엔 기옹 (어느 도시의 방)
줄리 제즈켈 (북극성)
2. 10. 최우수 감독상
2. 11. 최우수 각본상
'''장클로드 카리에르''', '''다니엘 비뉴''' - ''마르탱 게르의 귀향''마티외 파비아니, 밥 스와임 - ''라 발란스''
에릭 로메르 - ''아름다운 결혼''
엘리 슈라키 - ''데이비드를 뛰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2. 12. 최우수 각색상
'''장 오렌슈, 미셸 그리솔리아, 피에르 그라니에-데페르''' - 북극성- 장클로드 카리에르 - 당통
- 다니엘 슈미트, 파스칼 자르댕 - 에카트
- 로베르 오세인, 알랭 데코 - 레 미제라블
2. 13. 최우수 촬영상
'''앙리 알레칸''' - ''송어''에드몽 리샤르 - ''레 미제라블''
라울 쿠타르 - ''정열''
장 팡저 - ''어느 도시의 방''
2. 14. 최우수 음향상
'''윌리엄 로버트 시벨''', '''클로드 빌랑''' - 무심의 방랑자피오트르 자바츠키, 도미니크 헨네캥, 장피에르 뤼 - 당통
피에르 가메, 자크 모몽 - 포르티엠 루지상
제라르 람, 앙드레 에르베 - 어느 도시의 방
2. 15. 최우수 편집상
'''노엘 부아송''', 《데이비드를 뛰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프랑수아즈 자베, 《라 발란스》
앙리 라노에, 《포르티엠 루지상》
아르망 프세니, 《일제 사격》
장 라벨, 《북극성》
2. 16. 최우수 영화 음악상
2. 17. 최우수 프로덕션 디자인상
마르탱 게르의 귀향의 알랭 네그르가 세자르상 최우수 프로덕션 디자인상을 수상했다. 후보로는 레 미제라블의 프랑수아 드 라모트, 송어의 알렉상드르 트로네, 어느 도시의 방의 베르나르 에뱅이 있었다.2. 18. 최우수 애니메이션 단편
- '''가난한 곱추의 전설''', 미셸 오슬로 감독
- 1909년 연대기, 폴 브리치, 가에탕 브리치 감독
- 사전 통보 없이, 미셸 고티에 감독
2. 19. 최우수 극영화 단편상
- '''블러프''', 필리프 벤수산 감독
- 코레, 히타노, 토니 가트리프 감독
- 멀린 혹은 황금 수업, 아르튀르 조페 감독
- 압수, 이브-노엘 프랑수아 감독
2. 20. 최우수 다큐멘터리 단편상
- '''정크피아''', 크리스 마르케 감독
- 지옥의 천사, 애니 트레스고 감독
- 로스 몬테스, 호세 마르틴 사르미엔토 감독
- 사운드 조각, 자크 바르삭 감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